뉴스레터
[BRPInsight Daily | 25.08.06] '레일라 복합제' 단일제 추월...주목받는 천연물약 확장성
2025.08.06
천연물의약품 ‘레일라’와 합성의약품 ‘세레콕시브’를 결합한 복합제가 출시 2년 만에 분기 처방액 100억 원을 돌파하며 빠른 시장 안착에 성공했습니다. 이 모델은 중견·중소 제약사들의 ‘공동개발 + 위탁생산’ 전략과 맞물려 천연물 기반 복합제의 새로운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적응증과 조합을 통한 시장 확장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습니다. [데일리팜- 25.08.06]
타미플루 복용과 신경정신과적 부작용 간의 연관성 우려가 수년간 제기되어 왔지만, 미국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해당 인과관계가 없다는 점이 입증됐습니다. 오히려 복용군에서 관련 이상반응 발생률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며, 이번 결과는 타미플루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계절성 독감 치료제 시장의 신뢰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메디칼타임즈 -25.08.06]
대원제약이 베링거인겔하임의 리나글립틴 조성물 특허에 대해 무효 소송을 제기, 1심에서는 베링거 측이 사실상 승소했습니다. 그러나 베링거는 승소 이후에도 항소를 제기하며 청구항 전체 기각을 노리는 선제적 방어 전략에 나섰고, 이는 미등재 특허임에도 불구하고 제네릭 진입을 견제하려는 전략적 포석으로 해석됩니다. 이번 사례는 향후 리나글립틴 제네릭의 시장 진입 장벽을 높이는 동시에, 유사 특허 방어 전략의 업계 확산 가능성까지 시사하고 있습니다. [히트뉴스 - 25.08.06]
기존 협심증 치료에서 베타차단제가 1차 치료제로 우선 권고되던 관행에서 벗어나, AHA 및 ESC 가이드라인은 칼슘채널차단제를 베타차단제와 동등한 수준의 1차 치료제로 병렬 권고하고 있습니다.이 중 non-DHP 계열인 헤르벤은 심박수 조절과 증상 완화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며, 특히 혈관 경련과 고심박수가 흔한 아시아인 환자에게 임상적 적합성이 높아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향후 고심박수, 당뇨, COPD, 변이형 협심증 등 특정 환자군을 중심으로 Diltiazem 기반 치료 전략의 활용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메디칼업저버 - 25.08.05]
|